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268

사람들은 무얼 가장 아쉬워할까? 많이 하는 후회 5가지 사람은 누구나 후회를 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열 명 중 여덟 명은 용기를 낼 걸, 그래서 위험을 감수했다면 삶이 더 나아졌을 텐데, 반성하고 네 명 중 한 명은 지나간 사랑을 그리워한다. 사람들이 ‘그때 그렇게 하는 대신 저렇게 할 걸’ 생각하는 데에만 일 년에 110시간을 쓴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사람들은 과연 무얼 가장 아쉬워할까? 영국 일간 ‘가디언’이 다섯 가지 목록을 정리하고, 그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전문가의 조언을 소개했다. ◆저축 많은 이들이 젊었을 때 더 절약하고 더 저축하지 않은 걸 후회한다. 과거를 돌아보는 건 미래를 계획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고유한 특징. 그러나 거기에 발목을 잡혀선 안 된다. 후회를 멈추고 행동으로 옮길 것. 젊은 시절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2021. 11. 18.
걷기 운동 꼭 해야 하는 이유! 2021. 11. 18.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법을 알아보자! 면역력을 높이고 체중 감량에 좋다는 프리바이오틱스와 프로바이오틱스. 이름만 들어서는 한 글자 차이인 둘은 어떻게 다를까? 미국 ‘멘스 헬스’가 둘의 차이점과 섭취법을 소개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는 유익균 그 자체고,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유익균의 먹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구르트나 김치 같은 발효식품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이다.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해 장내 유익균이 늘면 면역력이 강해지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과학적인 검증이 마무리된 것은 아니지만, 크론병이나 염증성 장 질환, 식품 알레르기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는 중이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섬유질과 올리고당 등인데, 직접 장에 작용하기보다는 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됨으.. 2021. 11. 18.
겨울만 되면 반복되는 나쁜 습관 7가지 겨울에는 일조량이 줄면서 신경전달물질인 멜라토닌의 체내 분비량이 감소한다. 이 물질은 신체리듬을 조율하기 때문에 분비량이 줄면 기분이 우울해진다. 울적해진 기분은 활동량을 저하시키고, 수면 시간을 늘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겨울마다 계절성 우울증에 시달린다면 자신의 생활패턴을 점검해봐야 한다. 이와 관련해 ‘헬스닷컴’이 겨울만 되면 반복되는 나쁜 습관들을 소개하며 이번 겨울에는 이를 개선하라고 조언했다. 1. 먹는 것에서 위안을 찾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겨울철 따뜻한 커피나 핫초코 한 잔은 마음을 안락하고 편안하게 만든다. 그런데 겨울에는 당분 함량이 높은 무거운 음식도 당기게 된다. 영양가 낮고 칼로리는 높은 음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체중이 늘고, 각종 성인병 위험률 역시 높아진다.. 2021. 11. 18.
‘낮은 HDL 콜레스테롤 수치’ 위험할까? 모 제조업체 영업팀에 근무 중인 김모(남, 48세)씨는 얼마 전 받은 건강검진 결과에서 그는 ‘고콜레스테롤혈증’과 HDL 수치가 낮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을 동시에 앓고 있어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수치가 각각 198mg/dL, 31mg/dL로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연말이 되면 많은 직장인들이 건강검진 결과표를 받고 뒤늦은 걱정과 후회를 한다. 특히 직장인들은 김모씨와 같이 야근, 회식 등으로 불규칙한 식습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잦은 음주와 잘못된 식습관은 이상지질혈증 발병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이상지질혈증은 ▲고콜레스테롤혈증(총콜레스테롤 200 이상) ▲고LDL콜레스테롤혈증(LDL콜레스테롤 13.. 2021. 11. 18.
대표적인 스마트폰 병 3가지와 예방법 미국의 한 리서치 센터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4%로 세계 1위다. 2위인 이스라엘의 보급률이 83%다. 거의 모든 국민들이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로서 IT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는 한국이지만 어두운 면도 있다. 해마다 스마트폰 때문에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목을 잔뜩 움츠린 상태에서 고개를 아래로 떨구고 연신 손가락을 움직이는 과정이 병을 부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 때문에 과거 노환으로만 알려져 있던 병들이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태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스마트폰 병은 무엇이 있으며 예방을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1. 목 디스크 스마트폰 화면은 작고 또 보통의 시야보다 아래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 2021. 11. 18.